
study
Social Capital
2010년대 중반을 휩쓴 새로운 바람이었던 Social Capital을 살펴보자
study
2010년대 중반을 휩쓴 새로운 바람이었던 Social Capital을 살펴보자
study
한국 벤처투자 시장에서 가장 존재감이 큰 투자사인 알토스벤처스를 알아봅니다. 오히려 너무 정보가 많았기에 어디에 집중해야하나 싶었지만 풀어보겠습니다.
관점
벤처캐피탈은 세상을 이롭게 하리라, 비상장 시장에서는 내러티브 공표가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지 알아봅시다
study
First Round Capital은 이름부터 첫 라운드를 투자하는 VC로 포지션하며, 스타트업의 초기 단계에서부터 관계를 맺는 것을 중요하게 생각합니다. 과연 First Round Capital은 어떤 투자를 하였고, 어떤 전략을 펼치고 있을까요?
study
Union Square Ventures는 본인들을 Thesis-driven VC라고 자부합니다. 과연 그렇기에 어떤 투자를 하였고, 전략을 피고 있을까요?
관점
벤처캐피탈. 영어로는 (ad)Venture Capital라고도 합니다. 전통적인 투자 자산들은 모험자본이라고 일컫어 지는 VC와 어떤 점이 다를까요? VC를 이해하기 위한 첫 발자국 Power law, 멱법칙을 알아봅시다.
시장
시장의 기류가 변하며 투자자들, 스타트업 대표님들이 시장에 대응하는 생각이 변화하고 있습니다. 초기기업 대표님들이 최근 부트스트래핑을 초기 운영 전략으로 많이 차용하는데 투자자 관점에서 알아보았습니다.
시장
Shutter Hill Ventures라는 국내에서는 생소할 수 있는 투자사는 스노우플레이크라는 60조가 넘는 기업을 10년만에 만들었습니다. EIR 프로그램이 그 성과를 만들 수 있었던 토대인데 국내에서는 어떤 시도가 있는지 살펴보았습니다.
관점
큰 비전, 목표에 대해 외치는 스타트업들을 보면서 어색함을 느끼셨나요? 저는 논리적으로 우월한 전략을 피고 있는 회사들이라고 생각하게 되어서 그 내용을 풀어보았습니다.
동료
미래를 함께 만들어가고 있는 90년대생들을 차례로 조명하려고 합니다. 첫주자로는 유튜버 EO로 더 잘 알려져있는 김태용 대표의 엔젤투자기를 다뤄봤습니다.
관점
우리나라 벤처투자 산업만의 독특한(정부산업) 역학구도, 유교적인 문화 등이 얽혀 국내 벤처투자씬을 간단히 이해하기 어려운데 다른 패턴들과 현황에서 미래가 어떻게 될지 국내 Top 20 AUM을 형성한 VC들을 분석하면서 알아보았습니다. 정부출연기관 or 종합금융회사로 부터 시작하였지만 결국은 독립계 벤처캐피탈들이 득세할 세상이 올 것 같습니다.
시장
1년만에 손익이 5000억원 좋아진 기업이 있습니다. 시장의 독점력을 이용한 엄청난 성과인데, 그 때문에 행복해진 대상들은 누구일까요? 고객? 파트너? 주주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