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벤처
뒤늦게 메타버스에 투자한 심사역이 있다?!
메타버스를 싫어하던 투자자가 메타버스 스타트업에 투자하게 된 스토리입니다. 논리적으로 메타버스가 왜 시대의 흐름과 사람들의 선택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매개체인지를 이해하게 된 이야기
벤처
메타버스를 싫어하던 투자자가 메타버스 스타트업에 투자하게 된 스토리입니다. 논리적으로 메타버스가 왜 시대의 흐름과 사람들의 선택을 받을 수 밖에 없는 매개체인지를 이해하게 된 이야기
관점
이번 사건을 한마디로 지금 정리하자면 뱅크런을 일으켰을지도 모르는 VC들의 섣부른 행동일지는 모르겠지만 그래서 본인 포트폴리오들에게는 안정성을 더해줬으니 저는 이런 냉혹한 세상에서는 당연히 취해야 할 전략이라고 봅니다.
시장
OpenAI가 투자한 스타트업 분석을 통해 생성형 AI가 바꿔갈 미래를 엿보고, 그들의 세력 확장 전략을 알아보았습니다. 솔라나의 스테픈과 같은 대박 사례가 나올 GenAI 해커톤도 찾아보았습니다.
관점
두들린이라는 스타트업에 세번 연속 투자를 하면서 드는 생각들을 공유하고 싶었습니다. 그러면서 다른 투자사들은 후속투자를 어떤 사유로 어떻게 쓰는지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은 미래가 기대되는 투자사를 featured 했습니다.
관점
벤처캐피탈을 비롯한 투자사(General Partner)들이 어떤 출자자 서한(Limited Partner Letter)를 어떤 목적으로 작성하고 어떤 정보를 어떤 맥락으로 전달하는지 궁금하여 조사하게 되었습니다. 미국은 솔직한 투자사의 생각 공유와 시장 데이터 중심의 보고를 하였고, 국내는 행정적 편의를 위한 보고 구조가 어느정도 형성되어있는 것 같습니다.
시장
Generative AI가 만드는 새로운 영역은 여러가지가 있는 것 같습니다. 그 중 chatGPT가 가장 큰 앞서서 새로운 지평을 열고있어, 현재 구축되고 있는 생태계와 사례들을 모아보았습니다.
관점
벤처캐피탈이 가장 잘 할 수 있는 포트폴리오사 가치제안은 좋은 사람을 소개해 주는 행위인 것 같습니다. 그 과정에서 국내, 해외에선 어떤 사례가 있고 저는 어떤 시도를 하려고 하는지 남기려고 합니다. 앞으로 만나는 스타트업에 좋은 가치를 더하실 모든 분들을 서로 더 잘만날 수 있는 중매쟁이가 되어보겠습니다.
시장
현재 MAU와 같은 트래픽(무료 유저)에 대한 생각이 변화하며 시장의 공식이 바뀌는 시점입니다. 유료화에 왜 공을 들이는 것이 효율적인지, 어떤 방법이 있는지, 이것을 왜 저희가 다루는지 알려드립니다.
시장
금융권은 연말에 모두 업무를 마감하면서 쉬는 한주가 있습니다. 그에 맞춰서 해외 VC들이 올해를 마무리, 내년을 조명하는 글을 쏟아내는데요. 한번 정리해보았습니다.
관점
대기업 CVC가 경기침체 국면에서 새로운 구원자로 평가받지만 장단이 있는 투자처입니다. 구조적 한계와 국내 경영환경이 한계를 만드는 이유다 보니 잘 고민해보시고 좋은 의사결정을 할 수 있으면 좋겠습니다.
시장
미국 VC들 부터 시작해서 아마 2023년 스타트업 씬의 핫 키워드가 될 Generative AI가 왜 경기침체 시점에서도 각광받는지에 대한 분석기입니다.
관점
미국 유명 VC가 올린 FTX와 같은 스타트업의 특징 10가지를 보면서 27년의 노하우를 습득해봅시다. 1개씩 보면 일반적일 수 있는 문젠데 문진표로 보니 마음에 더 와닿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