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직 선두주자가 없는 국내 대마초 산업을 알아보자

아직 선두주자가 없는 국내 대마초 산업. 언젠가 합법화가 될 때를 대비해서 대마초 산업 전반에 대해 알아두자!

아직 선두주자가 없는 국내 대마초 산업을 알아보자
Snoop Dogg photo by David Mcnew

Special thanks to 4층 총각

목차

  1. 서문
  2. 대마는 무엇인가?
  3. 국내 대마 산업의 밸류체인과 현황, 활용처
  4. 글로벌 대마초 기업 6곳
  5. 국내 대마초 기업 4곳
  6. 끝으로

00. 서문

 2017년에 개봉한 조인성과 정우성 주연의 영화 <더킹>을 보면 안동하회탈과 안동의 특산품 삼베, 대마밭에 대한 얘기가 나온다. 삼베를 만들기 위해 온 마을이 대마를 재배하다 보니 마을 사람들이 전부 모여 대마를 피웠기 때문에 안동하회탈이 웃고 있는 것이라고 한다. 물론 이 내용은 거짓이지만 필자는 처음 들었을때 사실이겠구나 싶었다.

이처럼 삼은 오래전부터 한반도에서 재배되어온 친근한 식물이다. 해외에서는 치료약물로도 재배되어 왔으나, 한국에서는 오직 섬유로 재배했고 의학용으로 사용한 기록은 없다고 한다. 검찰에 따르면 대마가 흡연용으로 전파된 것은 월남전이 한창이던 1965년 이후라고 한다. 그렇게 1976년 4월 대마관리법이 제정이 되었다.

불법임에도 불구하고 대마 재배와 대마초 유통 및 흡연으로 종종 뉴스에서 유명인들의 처벌 소식을 들을 수 있었다. 그러나 대마초를 피워본 경험이 있는 오바마 대통령이 당선되고 판세가 조금씩 바뀌기 시작했다. 그러다 최근에는 22년 12월 29일 뉴욕 최초의 합법 대마초 소매점이 오픈 3시간 만에 매진되는 등 성업하고 있다. 현재는 캐나다와 네덜란드, 남아공 등 대마를 전면 허용한 국가도 꽤 있으며, 뉴욕처럼 미국에서는 10개 넘는 주가 오락용 대마초를 합법화했다.

출처 : New Frontier Data

마약류에 민감한 동남아시아에서도 태국이 대마초를 전면 합법화하면서 전세계적으로 큰 이목을 끌었다. 태국의 보건부 장관은 합법적인 대마초 생산이 경제를 부양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했다. 대마 산업이 이렇게 전세계적으로 집중받는 이유는 2020년 기준 $415B(오차 큼)에 달하는 시장 크기 때문이다. 오락용 흡연 뿐만 아니라 의료는 물론 식품과 원료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이 가능하다고 한다. 이에 이번에는 유망한 대마 산업 전반에 대해 살펴보고 국내외로 어떤 기업이 활동하고 있는지 찾아보고자 한다.

01. 대마는 무엇인가?

출처 : Pixabay

대마, 헴프, 대마초, 마리화나, 삼 등 대마와 관련한 모든 단어의 시작은 Cannabis 속에서 시작한다. Cannabis 속은 3개의 종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바로 Cannabis sativa와 Cannabis indica, Cannabis ruderalis다. 현재는 수백 종 이상의 변종이 확인되었다고 하나 대표적으로 사용되는 품종은 Sativa와 Indica이다. 각 품종 별로 대마의 핵심 성분인 THC(Tetrahydrocannabinol)와 CBD(Cannabidiol) 함량이 다르다.

외국의 경우 통상적으로 THC 함량에 따라 대마를 Hemp와 Marihuana로 구분한다. THC가 0.3% 이하로 포함되어 있을 경우 Hemp로, 6~20% 이상으로 함유되어 있을 경우 Marihuana로 판단한다. Cannabis 속 식물에서 자연적으로 발견되는 수백 가지의 Cannabinoid(화학 물질) 중에서 THC는 환각을 유발하는, CBD는 의료용으로 사용되는 대표적인 성분이다. 그렇기에 THC 성분이 낮은 Hemp를 산업화하거나 CBD 성분을 약제화하자는 것이 최근 대마 산업 양성화의 주된 골자이다.

출처 : CBD vs THC – What are the Main Differences?

조금 더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THC와 CBD는 동일한 2개의 산소 원자와 30개의 수소 원자, 21개의 탄소 원자로 구성된 화합물이다. 하지만 원자 배열이 달라 체내에서의 반응도 다르다.

THC는 CB1(Cannabinoid receptor type 1) 수용체를 자극해 향정신성 효과를 유발한다.
CBD는 CB1 수용체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THC가 CB1 수용체에 결합하는 것을 막는다.

THC를 의료적으로 사용하면 진통제와 수면 보조제, 식욕 자극제, 근육 경련 등에 활용할 수 있고, CBD를 의료적으로 사용하면 발작과 항염증제, 우울증 등에 활용할 수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관련 연구가 완벽하지 않다고 한다.

동일한 식물에서 부위 별로도 THC 성분 함량이 다르다. THC가 많이 들어있는 잎과 꽃봉오리는 마약류로 분류하며, THC가 거의 없는 씨앗과 뿌리, 줄기는 마약류에서 제외한다. 그래서 대마를 첨부하거나 원재료로 하는 제품이 정부의 철저한 관리 감독을 통해 시중에 나올 수 있는 것이다. 아래는 쿠팡에서 <대마>라고 검색하면 나오는 상품이다. 식품 외에도 대마는 앞서 언급한 것처럼 의약품이나 원료, 화장품 등 다양하게 활용이 가능하다.

검색 상위의 대마종자유는 식약처 기준을 통과한 식용대마인 Hemp의 껍질을 벗긴 씨앗으로 만든 식물성 식용 기름이다.
출처 : 쿠팡

02. 국내 대마 산업의 밸류체인과 현황, 활용처

한국은 2018년 1월 마약류 관리에 관한 법률 일부개정법률안을 통해 선별된 기관과 기업의 의료용 대마 취급을 가능하게 했다. 이후 2020년 7월 경상북도가 정부가 지정한 <산업용 헴프 규제자유특구>에 선정되면서 대마의 산업화가 시작됐다. 다만, 이미 시가총액 1조가 넘는 여러 상장기업이 있는 해외와 달리 아직도 규제나 연구가 제한적이고 시작도 늦었기에 한국이 여러모로 불리한 산업이다.

출처 : 대마 생물산업의 현황과 전망
  • 대마 재배

한국 고유의 대마 품종인 <청삼>은 섬유용으로 개발된 품종이라 스마트팜 재배 적합성이 떨어지고 CBD 함량도 낮아 의료용으로도 적합하지 않다. 국립식량과학원 바이오에너지 작물센터에 따르면 재래종의 THC는 1.74%이나 청삼은 0.34%이고, 재래종의 CBD는 0.58%이나 청삼은 1.34%이다. 반면 해외 품종의 CBD는 8~22%에 달해 재배 이전에 품종부터 많이 밀린다.

생산량에서도 차이가 난다. 2019년 기준 한국의 대마 총 생산량은 42ha였고, 한국보다 면적이 작고 오락용 대마초가 합법인 오스트리아의 경우 2019년 생산량이 6,113톤이었다. EU의 대마 생산량 70%를 차지하는 프랑스(의료용 대마초만 합법)의 2019년 생산량이 106,974톤인 것을 보면 생산량이 경쟁력은 될 수 없다. 국토가 좁기 때문에 생산량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품종을 개발하거나 수직재배를 해야 한다.

다행스럽게도 대마는 병충해에 강해 화학비료나 방제가 필요하지 않고 유기농으로 재배가 가능한 작물이라 국내 재배와 관련해서는 문제가 없다고 한다. 생장 속도가 빨라 파종 후 수확까지 90일 정도가 걸려 이모작도 가능하다. 또한, 토양과 수질오염의 우려가 적고 어느 기후에서나 생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논농사를 대체할 수 있는 작물로도 적합하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 대마 가공

앞선 언급했던 것처럼 법에 따라 줄기와 뿌리, 껍질을 벗긴 씨앗을 제외한 부분은 모두 소각 및 폐기하도록 관리되고 있다. 이 가공 과정에서의 자동화가 부족해 채취와 수확, 선별, 이물 제거, 탈각 등의 작업은 대부분 중국과 캐나다 등 해외의 기기를 사용하고 있다. 이에 경상북도에서는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선정을 통해 고순도·단축공정으로 산업용 CBD 추출 및 제조를 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고 있다.

줄기와 뿌리, 껍질을 벗긴 씨앗의 활용처에 따라 각각 다른 공정이 필요하고, 이에 대한 새로운 쓰임새를 찾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줄기와 뿌리의 경우 항염증 및 진통효과, 암세포 사멸효과, 통풍 및 구토 억제효과가 보고되면서 기존 건축과 섬유 용도에서 벗어나고 있다. 또한, 화장품과 생활용품, 기능성 용품으로의 이용도 검토되고 있다. 껍질을 벗긴 씨앗의 경우 식용 기름으로 인기가 많아 필수 지방산 파괴를 막기 위해 비가열 착유 및 초임계 용매 추출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 대마 저장 및 유통

현재 국내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대마제품은 껍질을 벗긴 식용 씨앗과 씨앗 기름이다. 아직 생산량이 부족하다보니 해당 제품들 2,000톤 이상을 캐나다와 미국, 중국에서의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현행법상 마약류취급자 허가없이 대마 소지 및 운반, 보관 등이 금지되어 있다. 즉, 택배 배송이 불가능하다. 이에 경상북도에서는 규제샌드박스 실증특례 선정을 통해 전주기 생산 및 유통 이력관리 시스템을 도입하려고 한다. 이 과정에서 원료 유출과 불법 유통을 막기 위해 블록체인(필요없을텐데)을 도입한다. 이후 판매와 관련해서는 제도적 여건이 아직 어려운 국내 시장을 대신해 캐나다를 중심으로 식품과 화장품, 소재 상용화를 할 예정이다.

  • 대마 활용

대마 상용화와 관련한 국내 특허는 2021년 기준 약 265건이다. 주요 특허분야는 의학 및 수의학 생활필수품 16건, 식품 및 음료 생활필수품 15건, 섬유 15건, 종이 14건, 염직류 13건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고르게 나타났다. 해외에서도 대마를 오락용과 치료용, 식용에서 벗어나 섬유와 건축 자재, 종이, 플라스틱 원료, 항공 소재 등 다양한 분야에 접목해보고 있다.

출처 : MJ Biz Daily

대마 산업에서 시장 크기가 가장 큰 부분은 아무래도 흡연용 대마초다. 위 이미지의 Flower와 Pre-rolls(일반 연초), Vape(전자담배) 모두 흡연용이라고 볼 수 있다. 아래 이미지는 대마 관련한 여러 제품을 파는 NASDAQ 상장사인 The Cronos Group의 D2C 브랜드 Spinach에서 파는 Flower와 Pre-rolls, Vape다. 정말 제품군이 다양하다.

출처 : Spinach (좌측부터 Flower, Pre-rolls, Vape)

그 다음으로 주목받는 부분은 의료용 대마초다. 실제로 2020년 말 국내에서는 CBD 성분으로 만들어진 의약품 <Epidiolex>를 이용해 난치성 소아 뇌전증 환자를 치료한 사례가 처음 보고됐다고 한다. 이외에도 국내에서 허용된 Cannabinoid 성분 의약품으로는 식욕부진을 겪는 에이즈환자에게 처방하는 <Marinol>, 항암 치료를 받은 뒤 구토 증상을 보이는 환자에게 처방하는 <Cesamet>과 <Canemes>, 다발성경화증 환자의 경련 완화제인 <Sativex>가 있다.

세번째로 주목받는 부분은 Edible(식용)이다. 나무위키에 따르면 먹기도 편하고 유통기한이 긴 젤리나 알약의 형태가 가장 흔하다고 한다. 흡연과 달리 식용은 복용 후 2시간 뒤에 느낌(?)이 온다고 한다. 필자가 식용 부분에서의 대마를 눈여겨보는 이유는 레드불을 잇는 트렌디한 새로운 D2C 브랜드의 탄생에 대한 기대감에 있다. 개인적으로 아직 식후 코카콜라 대용으로 식후 대마-탄산 드링크는 무리일 것 같은데, 술집과 클럽, 페스티벌에서 술에 섞어먹는 대마-에너지 드링크는 느낌이 있지 않는가?

인플루언서에게는 안타깝지만 아쉽게도 대마와 김치가 접목된 음식 영상은 벌써 어떤 한인셰프가 만들었다.

03. 글로벌 대마초 기업 6곳

미국주식 사관학교(인플루언서)님이 대마초 관련 해외 상장 기업중에서 대마초를 부가 아니라 주로 다루는 5곳(Cronos Group Inc, SNDL Inc, Canopy Growth Corporation, Tilray Inc, Aurora Cannabis Inc)을 선정해주셨다. 손익계산서와 주석을 다 훑어봐야 정확한 판단이 되겠지만 2022년에 순이익을 낸 기업은 없었다.

  • Cronos Group Inc

1조원 시가총액의 Cronos Group Inc는 <Godfather of Canadian cannabis>라 불리는 Lorne Michael GertnerPaul Rosen이 2012년 창업했다. 현재는 위에서 설명한 흡연용과 식용 대마초를 파는 Spinach, 화장품을 파는 LORD JONES, 식용 기름을 파는 PEACE NATURALS 총 3가지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2022년  Net revenue는 2021년 $74.4M보다 $17.5M 증가한 $91.9M을 기록했다. COGS는 $79.9M으로 Gross profit은 $12.0M, Gross margin은 13%다. Operating expenses는 $136M이고 Net loss는 $167M이다. 매출 비중은 Flower가 73%고 나머지가 27%다.

  • Sundial Growers Inc

6,414억원 시가총액의 Sundial Growers IncStan Swiatek이 2006년 창업했다. 현재는 캐나다에서 제일 큰 Liquor store인 Wine and Beyond와 Liquor 아울렛 Liquor Depot, 11개의 대마초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2021년 Net revenue는 $56M이고 COGS는 $48.6M으로 Gross loss는 $6.9M, Net loss는 $230M이다.

  • Canopy Growth Corporation

 티커가 WEED인 1.5조원 시가총액의 Canopy Growth CorporationBruce LintonChuck Rifici가 2013년 창업했다. 현재 캐나다에선 14개의 브랜드를, 미국에선 4개의 브랜드를, 글로벌로 4개의 브랜드를 운영해 Flower와 Edible을 포함해 총 22개의 대마초와 관련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2022년 Net revenue는 $520M이고 COGS는 $653M으로 Gross loss는 $133M, Net loss는 $302M이다.

  • Tilray Inc

대마초 관련 기업 중 미국 증권거래소에 처음으로 상장했고 Peter Thiel이 투자한 것으로 유명한 2.2조원 시가총액의 Tilray IncBrendan Canady가 2013년에 창업했다. 현재 Flower와 의약품, Edible(맥주, 위스키 포함)을 포함해 19개의 대마초와 관련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공시에 따르면 2022년 Net revenue는 $628M이고 COGS는 $511M으로 Gross profit은 $116.8M, Gross margin은 18.5%다. Operating expenses는 $727M이고 Net loss는 $434M이다. 대마 제품군만의 Net revenue는 $237.5M이고 COGS는 $194.8M이다.

  • Aurora Cannabis Inc

3,796억원 시가총액의 Aurora Cannabis IncTerry BoothSteve Dobler, Dale Lesack, Chris Mayerson이 2006년에 창업했다. 현재 캐나다에 10개의 브랜드를, 미국에선 2개의 브랜드를, 글로벌로 2개의 브랜드를 운영해 Flower와 Edible을 포함해 총 14개의 대마초와 관련한 브랜드를 운영하고 있다. 2022년 Net revenue는 $49M이고 COGS는 $48M으로 Gross loss는 $1M, Net loss는 $51.8M이다.

이외에도 눈여겨볼 스타트업으로는 2017년에 창업한 독일(오락용 대마초 합법화를 앞둔)의 Cansativa가 있다. 2022년에 $15M 규모의 시리즈 B를 클로징한 Cansativa는 유럽 대마 산업의 Amazon을 꿈꾸고 있다. 재밌는 부분은 시리즈 B를 리드한 미국의 대마초 산업 전문 벤처캐피탈 Casa Verde의 공동창업자가 Calvin Broadus라는 것이다. 바로 Snoop Dogg이다. 실제로 홈페이지에 아래와 같이 찾아볼 수 있다.

출처 : Casa Verde 홈페이지

04. 국내 대마초 기업 4곳

출발이 많이 늦긴 했지만 한국도 K-HEMP 산업을 위해 정부 주도로 규제샌드박스가 생겨 2020년 8월부터 2024년 11월까지 무려 52개월 동안 아래와 같이 크게 3가지 사업에서 기업들이 참여해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출처 : 경북산업용헴프 규제자유특구

블록체인으로 산업용 HEMP 종합관리체계를 만들겠다는 마지막 사업을 제외하고 첫번째 HEMP 재배와 두번째 의료제품용 CBD 추출 및 제조, 수출을 동시에 수행하고 있는 제이헴프코리아, 첫번째 HEMP 재배만을 수행하고 있으면서 투자 유치를 한 적이 있는 상상텃밭과 넥스트온, 첫번째 HEMP 재배만을 수행하고 있는 헴프앤알바이오 총 4곳을 찾아봤다.

  • 제이헴프코리아

2013년에 설립된 제이헴프코리아는 노중균 대표가 창업했다. 2021년 매출은 2.3억원이고 영업이익은 5천만원이다. 노중균 대표는 서울대학교 경영학 박사 이후 연세대학교 조교수 과정에서 학생과의 인연으로 대마초 산업을 접하게 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국내산 100% 씨앗 기름과 식용 씨앗을 팔고 있다.

  • 상상텃밭

2017년에 설립된 상상텃밭은 김수빈 대표와 반병현 CTO, 류동훈 이사를 비롯한 여러명이 창업했다. 매쉬업엔젤스가 투자했으며 매출과 영업이익은 알 수 없다. 스마트팜으로 시작해 현재는 스마트팜 기술을 계속 고도화하면서 의료용 대마초 산업으로 확장했다.

  • 넥스트온

 2017년에 설립된 넥스트온은 최재빈 대표가 창업했다. KB인베스트먼트와 민트벤처파트너스 등이 2021년에 시리즈 B로 150억을 투자하기도 했다. 2021년 기준 매출은 94억원이고 영업이익은 17억원이다. 상상텃밭과 비슷하게 스마트팜으로 시작해 계속해서 스마트팜 기술을 고도화하면서 대마초 산업으로의 확장도 진출하는 중이다.

  • 헴프앤알바이오

2017년에 설립된 헴프앤알바이오는 김영민 대표가 창업했다. 매출과 영업이익은 알 수 없지만 다른 기업들과 달리 대마를 소재로 하는 다양한 제품 연구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예시로 대마줄기를 활용한 마스크 패드를 비롯해 국내 최초 대마 맥주, 대마 탈취제 등 여러 제품을 개발하고 있다.

05. 끝으로

국내 대마초 산업에서도 규제 해소의 시간이 걸리겠지만 유니콘은 충분히 나올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국민 정서만 완화된다면 새로운 산업이 부상하면서 일자리가 증가한다는 측면에서 정부도 밀어주지 않을까? 투자 유치 과정에서도 마땅히 투자할 곳을 찾지 못해 어려움을 겪는 농식품 모태펀드 운용사가 힘이 되어줄 수 있을 것으로 조심스럽게 예상한다.

대마초 산업의 가장 큰 경쟁자가 멕시코 마약 카르텔이라고 주장하는 이 있다. 이 글에 따르면 합법 대마초는 1g당 $18.9인 반면 불법 대마초의 가격은 1g당 $7~$15로 합법 대마초가 최소 26%에서 최대 270%까지 비싸다고 한다. 규제의 틀에서 고급 인력과 비싼 실험실로 대마초를 재배하는 것보다 불법이지만 합법처럼 넓게 재배하는 멕시코 같은 곳에서 재배하는 것이 싸기 때문이다.

만약 대마초 산업이 정말 산업화가 된다면 Edible 제품을 만드는 입장에서 해외의 원료를 수입해서 만드는 것이 저렴할지 국내 원료로 만드는 것이 저렴할지 고민해볼 수 있는 부분인 것 같다. 그에 따라 국내에서 대마 관련한 D2C 브랜드가 우후죽순 생길때 골드러시에 청바지를 팔듯 경쟁력있는 원료를 개발할 수 있고 가지고 있는 곳이 투자처로 큰 인기를 얻지 않을까?  또한, 그런 기술을 가지고 있는 곳이 의료용 대마초 산업에서 오락용 대마초 산업으로 넘어가는 과정에서 버틸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물론 규모의 경제의 측면에서 무조건 국내 기업이 경쟁 열위에 있는 것은 부정할 수 없다.

2020년 제63차 UN 마약위원회에서 53개국 투표로 27표 과반수 찬성이 나오면서 대마초가 마약에서 제외되었다. 대마초 합법화가 한국보다 선진국들에서 이미 이뤄지고 있다. 과연 한국이 모든 선진국이 합법화가 된 순간에도 가만히 있을지는 각자 베팅의 영역인 것 같다.